[IT& Future Strategy 2024-4] 사회현안 해결을 위한 디지털+X 글로벌 프로젝트
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 사회는 인구 감소, 고령화, 기후변화, 수도권 집중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복합적 사회 현안은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해결이 어려워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디지털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이를 활용한 새로운 해결 방안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AI, IoT, 블록체인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8대 사회 현안을 데이터 기반으로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주요 국가들이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X 프로젝트를 분석하여, 한국 사회에 적용 가능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가 직면한 8대 사회현안 이슈
본 연구는 언론데이터와 소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한국 사회의 8대 사회 현안을 도출하였다. 주요 현안으로 ①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새롭게 나타나는 감염병, ②증가하는 사이버 보안 위협, 사이버 안보 대비, ③수도권 집중과 지역 인구 감소, ④소득 격차가 디지털 격차와 교육격차로 확대, ⑤기후 변화가 기후위기로, ⑥의료 수도권 집중 현상, 의료낙후 지역과 의료격차, ⑦늘어나는 노인, 노인빈곤과 노동시장 고령화, ⑧가짜뉴스와 할루시네이션을 제시한다.
사회현안별 주요국의 디지털+X 프로젝트 현황
사회현안 |
디지털 + X 사례 |
국가 |
기관 |
①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새롭게 나타나는 감염병 |
데이터 기반 예측대응 플랫폼, COVID19 ForecastHub(p18) |
미국 |
질병통제예방센터 |
전염병 대비·대응 AI 연구 프로젝트 AI4PEP(p21) |
캐나다 |
국제개발연구센터 |
|
코로나 추적 모바일앱, BruHealth(p24) |
브루나이 |
EVYD Tech. |
|
② 증가하는 사이버 보안 위협, 사이버 안보대비 |
최초 생성AI 보안 솔루션, Microsoft Copilot for Security(p26) |
미국 |
Microsoft |
AI 기반 통합 보안 솔루션, Vectra AI(p29) |
미국 |
Vectra AI |
|
③ 수도권 집중과 지역인구 감소 |
이커머스 통한 농촌 활성화 위한 Taobao Village(p32) |
중국 |
Alibaba |
일본 지방소멸 대응책, '디지털 전원도시 국가구상 종합전략'(p35) |
일본 |
내각관방 |
|
④ 소득격차가 디지털 격차와 교육 격차로 확대 |
UNICEF 접근가능 디지털 교과서(ADT) 이니셔티브(p39) |
국제기구 |
UNICEF |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학교 인터넷 보급 Giga Initjative(p42) |
국제기구 |
Climate Trace |
|
코로나 시기 취약계층 학습문제를 해결하는 NTP 프로그램(p45) |
영국 |
교육부(DfE) |
|
⑤ 기후변화가 기후위기로 |
세계 최대 글로벌 온실가스 데이터 플랫폼, Climate Trace(p48) |
국제기구 |
Climate Trace |
온실가스 배출 감소 자동화 시스템, AER(p52) |
미국 |
WattTime |
|
구글의 홍수 예측 시스템, Google AI Flood Forecasting(p55) |
미국 |
|
|
⑥ 의료 수도권 집중 현상, 의료낙후 지역과 의료격차 |
지방 의료격차 극복 위한 인도 원격의료 플랫폼, eSanjeevani(p59) |
인도 |
보건가족복지부 |
디지털 정신건강 플랫폼, Head to Health(p63) |
호주 |
보건·노인돌봄부 |
|
⑦ 늘어나는 노인, 노인 빈곤과 노동시장 고령화 |
노인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Digital Skills Ready@50+(p66) |
미국 |
OATS, Google |
자영업자 노후 대비 위한 자동 연금저축 서비스, AOMPLEARN(p69) |
태국 |
재무부 |
|
⑧ 가짜뉴스와 할루시네이션 |
생성 AI 콘텐츠 진위 식별하는 워터마크, 구글 SynthID(p72) |
미국 |
Google DeepMind |
AFP의 가짜뉴스 팩트체크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p75) |
프랑스 |
AFP |
|
AI 활용 자동 가짜뉴스 검증기술, vera.ai |
EU |
vera.ai |
시사점 및 결론
본 연구는 글로벌 주요국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적용 가능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디지털+X 기술을 접목한 해결 방안은 각 사회 현안에 맞는 맞춤형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우리 사회가 직면한 인구 감소, 의료격차, 기후위기 등의 복합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작성 및 문의
인공지능정책본부 미래전략팀 김소미 선임(somikim@ni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