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X REPORT 24-07] 디지털 정책보고서로 살펴본 디지털 유망 기술 및 정책과제 분석
2024.12.23 조회수 692 이은경 미래전략팀

[GDX Report 2024-07] 디지털 정책보고서로 살펴본 디지털 유망 기술 및 정책과제 분석


연구 배경 및 목적

AI 및 디지털 기술 발전이 가속화됨과 동시에 기술 패러다임 또한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정책 연구 공백의 발생이 우려된다. 이에 따라 국내외 공신력있는 기관의 연구보고서를 분석하여 현재 핵심 기술과 미래 유망 기술을 도출하고,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른 정책과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선제적 정책 수립 체계 마련에 활용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데이터 분석 개요


① (분석데이터) 약 10년간 국내 공공기관·글로벌 테크매거진 및 정부에서 발간한 정책 자료

연도별·분야별 데이터 분석을 위해 4가지 카테고리(미래전망, 정책연구, 기술동향, 법제도)로 분석 분야를 분류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한 주요 키워드와 실제 정책·전략 자료 간의 주요 키워드를 비교·분석하였다.


② (분석기법) TF-IDF 분석,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 ARIMA 예측 모델을 활용한 시계열 분석 등

 ※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 정보 검색과 텍스트 마이닝에서 사용되는 가중치 부여 기법으로 문서 내에서 특정 단어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

 ※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예측을 위한 통계 모델로 경제, 금융, 기상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데이터 분석 결과


① 글로벌 핵심 주요 기술 및 미래 유망 기술 도출

- ‘인공지능’과 ‘보안 및 안전’ 기술이 현재 가장 중요한 핵심 기술로 평가되며, 변화율도 증가 추세를 나타내 기술적 중요도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 ‘블록체인’, ‘자율주행’, ‘생성형AI’가 높은 변화율을 보이며, 중장기 관점에서 미래에 더 주목받으며 빠른 발전이 기대되는 미래 유망 기술로 예측된다.

-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는 높은 중요도 대비 변화율은 감소 추세를 나타내며, 새로운 혁신보다는 기술적 안정화 단계임을 데이터 기반으로 확인하였다.


② 시나리오 기반 정책연구 방향 및 정책 우선순위 도출

- AI·디지털 기술 발전은 정책적 지원과 규제의 균형을 유지하며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기술 간 상호 융합과 민관 협력을 통해 정책·제도적 기반 마련 및 사회적 수용성 제고가 기대된다.


작성 및 문의

인공지능정책본부 미래전략팀 이은경 선임(053-230-1207, lek@nia.or.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플러스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