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X REPORT 24-08] 주요국의 디지털 기술 확산 현황 및 시사점 : 기업·산업 측면을 중심으로
2024.12.30 조회수 673 이정민 미래전략팀

[GDX REPORT 2024-8] 주요국의 디지털 기술 확산 현황 및 시사점 : 기업·산업 측면을 중심으로


OECD가 측정한 주요국 디지털 기술 확산 현황

OECD는 디지털 경제전망보고서(Digital Economy Outlook)을 통해 주요국 기업 및 산업 내 디지털 기술 도입 현황을 발표하였다.


디지털 기술은 크게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4개의 영역으로 분류되었고 기업들은 대체로 클라우드 컴퓨팅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으나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의 도입률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업종 중에서는 정보통신업과 금융 및 보험업 부문에서의 기술 도입률이 높은 편이었고 건설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의 도입률이 낮은 편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모든 기술에서 기업 규모가 클수록 기술 도입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국 기업의 디지털 신기술 도입 현황 비교 분석

① 클라우드 컴퓨팅

한국 기업체 69.5%가 업무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및 서비스를 도입하여 OECD 국가 중 도입률 5위를 차지하였다. 

업종별 비교 결과, 한국은 운수 및 창고업(20위), 건설업(10위),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3위)을 제외한 업종들은 국가별 순위에서 모두 5위권 이내를 차지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별 도입률 비교 결과, 한국은 이메일·오피스 소프트웨어·파일 저장 등 SaaS 기반 서비스 도입률이 높고 데이터베이스 호스팅·컴퓨팅 기능 유형 도입은 OECD 평균 대비 저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② 사물인터넷

한국 기업체 53.2%가 업무가 사물인터넷 기술 및 서비스를 도입하여 OECD 국가 중 도입률 1위를 차지하였다.

업종별 비교 결과, 한국은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과 건설업(11위)을 제외한 업종들은 국가별 순위에서 3위권 이내를 차지하였다.

사물인터넷 유형별 도입률 비교 결과, 한국은 기업 보안(84.3%), 결제 시스템(44.4%), 고객서비스(19.3%) 순으로 도입률이 높았다.


③ 데이터 분석

한국 기업체 39.7%가 업무에 데이터 분석 기술 및 서비스를 도입하여 OECD 국가 중 도입률 8위를 차지하였다.

업종별 비교 결과, 한국은 건설업(21위), 도매업(13위)을 제외한 업종들은 국가별 순위에서 6위권 이내를 차지하였다.

데이터 분석에 활용되는 데이터 유형별 도입률 비교 결과, 한국은 공공데이터(30.5%), 고객정보 데이터(15.5%), 거래 데이터(13.7%) 순으로 활용도 높으며, 위치 및 위성 데이터의 활용도가 비교적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④ 인공지능

한국 기업체 28.0%가 업무에 인공지능 기술 및 서비스를 도입하여 OECD 국가 중 도입률 1위를 차지하였다.

업종별 비교 결과, 한국은 운수 및 창고업(5위),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5위)을 제외한 전 업종에서 국가별 순위 1위를 차지하였다.

인공지능 유형별 도입률 비교 결과, 한국은 이미지 인식(19.4%), 업무 자동화 및 의사결정 지원(16.4%) 유형을 주로 도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

디지털 기술의 도입률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나 국가 및 업종에 따라 도입 속도는 상이했다. 국가 대부분에서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기술의 도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U 및 미국 등 기술 도입에 대한 지원 정책과 투자가 활발한 국가일수록 기술 도입이 더 빠르게 이루어지는 편이었다. OECD는 인공지능을 포함한 디지털 기술의 잠재력을 광범위하게 활용하기 위해 비용 및 시간 투자는 물론 범국가적으로 더 많은 시행착오와 혁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국은 주요 디지털 기술 도입률이 OECD 국가 중 상위권을 차지하며 산업 전반에서 신기술 도입이 가장 빠른 국가 중 하나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 기술은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등 특정 산업에서의 도입이 집중되어 있기에 산업 특성에 맞는 기술 도입 지원이 필요하며 특정 기술 유형에 대한 도입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여 산업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기술 유형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작성 및 문의

인공지능정책본부 미래전략팀 이정민 주임(053-230-1205, jmlee@nia.or.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플러스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