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Report 2024-10] 글로벌 AI 가치 사슬 분석을 통한 AI 경쟁력 강화 제언
2024.12.31 조회수 2078 정지선 미래전략팀

[AI Report 2024-10] 글로벌 AI 가치 사슬 분석을 통한 AI 경쟁력 강화 제언


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 실정에 맞는 AI 경쟁력 강화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글로벌 AI 산업 생태계의 발전 현황과 서비스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


연구 추진 방안

생성형 AI 가치 사슬을 ‘AI 컴퓨팅 인프라’, ‘모델 개발’, ‘서비스 개발·배포’의 세 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에서 글로벌 선도 기업들의 전략과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 과제를 분석


주요내용

o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생성형 AI 가치 사슬을 크게 세 단계로 구분: ①AI 컴퓨팅 인프라 ② AI 모델 개발 ③ AI 서비스 개발 및 배포​


o 생성형 AI 가치 사슬 단계별로 글로벌 선도 기업 전략 및 서비스 동향 분석

  - 구글(Google), 메타(Meta), MS(마이크로소프트)

  - 엔비디아(NVIDIA), 인텔(INTEL), AMD, ARM, SK하이닉스, 삼성전자

  - 오픈AI(OpenAI), 앤쓰로픽(Anthropic), 미스트랄AI(Mistral AI), 코히어(Cohere), 스테빌리티AI(StabilityAI)

  - 허깅페이스(Hugging Face), 퍼플렉시티(Perplexity) AI​


o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3가지 주요 시나리오로 ▲ 글로벌 협력 강화를 통한 성장 가속화, ▲국내 AI 기업의 자생적 성장 환경 구축, ▲중장기적 ‘소버린 AI’ 달성을 위한 자립적 AI 산업 경쟁력 구축을 제시


시사점

AI 시대에는 우리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특정 영역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 이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만들 수 있음.


작성 및 문의

인공지능정책본부 미래전략팀 정지선 수석(jjs@nia.or.kr)


※ 보고서 본문 20페이지, [그림16]의 내용을 일부 수정하여 게시함(2025.01.09)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플러스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