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REPORT 2024-11] AI 기술의 마케팅 활용 사례와 공공부문 적용 방향
2024.12.31 조회수 1253 류재성 AI정책연구팀

[AI REPORT 2024-11] AI 기술의 마케팅 활용 사례와 공공부문 적용 방향


배경 및 목적

미국 OPENAI가 지난 22년 11월에 공개한 인공지능(AI) 기반 대화형 챗봇 서비스 ChatGPT가 출시된 이래로 생성형 AI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AI 기술에 관한 관심이 증가했으며 글로벌 조사 기관인 Statista의 최신 전망에 따르면, 2024년 마케팅 분야의 인공지능(AI) 시장 규모는 360억 달러로 예상되며 2028년에는 1,075억 달러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 이러한 추세 속에 마케팅 분야에서 기업들이 AI 기술을 활용하는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공공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아보고자 한다.


AI 기술의 마케팅 활용 사례 분석

본 보고서에서는 AI 기술의 마케팅 사례들을 대표적인 마케팅 전략인 STP(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와 4P(Product, Price, Place, Promotion)로 나누어 사례를 분석하였다.

STP 전략에서의 AI 활용 시 고객별 생애 가치를 산출함으로써 수익성 높은 잠재 고객 그룹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시장 경향과 소비자 요구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향후 변화를 예측하고 새로운 시장 세분화 전략 수립이 가능하며 4P 전략에서 AI 기술이 활용될 경우, 제품, 가격, 장소, 홍보 4가지 분야에서 AI를 통한 개인화와 예측 분석을 통한 고객 만족도 제고가 가능하다.

  

AI 기술의 공공부문 적용 방향

사례 분석에서 마케팅 분야에서 AI 활용을 STP 전략과 4P 전략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나, 마케팅에서 AI 활용의 핵심 키워드는 고객 데이터를 학습시킨 AI 기술로 실현하는 진보된 고객 세분화이다, 민간에서 이를 이용해 고객 만족도와 충성 고객을 확보하였듯 AI 기술을 활용하여 국민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공부문에서 세분화를 진행한다면 정부 서비스 만족도를 확보할 수 있다. AI 기술을 활용하여 맞춤형 정보 전달, 실시간 여론분석 및 위기 대응, 다국어ㆍ다문화 서비스 제공, 데이터 기반 행정 효율화 등의 방향으로 공공부문에 적용한다면 국민 삶의 질을 제고하고 정부에 대한 신뢰도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시사점

①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엄격한 데이터 관리 기준 수립, 투명한 알림 체계 구축, 정보 활용 범위 제한과 함께 알고리즘 투명성 확보, 심의 기구 설치 등 제도적 장치 마련

② 국민의 AI 기반 정부 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민 간 디지털 격차 해소 방안이 필요 정보 접근성 개선 위한 정책 전략 수립

③ AI 기술 활용 능력을 갖춘 인력 양성, 데이터 사이언스, 디지털 마케팅, AI 윤리 등 융합적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역량 강화 방안 필요


작성 및 문의

인공지능정책본부 AI정책연구팀 류재성 연구원(053-230-1206, rjs0228@nia.or.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플러스 인쇄